난 나의 춤을 춰
윙크북스
난 나의 춤을 춰
30%15,00010,500원에 구매 가능
윙크북스 무료체험 신청하면 30% 할인

저자소개

글 : 다비드 칼리

볼로냐 라가치상에 빛나는 세계적 작가. 그림책, 만화, 시나리오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이 30개국 넘는 곳에서 출판되었으며 2005년 바오바브상을 비롯한 유수의 상을 받았다. 기발한 상상력과 재치 있는 유머로 사랑받으며, 모니카 바렌고와 사랑 3부작을 함께 만들었다. 《사랑의 모양》은 그 첫 권이며, 지은 책으로 《인생은 지금》, 《작가》, 《어느 날, 아무 이유도 없이》, 《나는 기다립니다》 등이 있다.

스위스에서 태어나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살고 있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글을 쓰며, 그림책, 만화, 시나리오, 그래픽 노블 등 다양한 작 품 활동을 합니다. 정기적으로 글쓰기 강좌를 열고, 여러 일러스트레이션 교육기관에서 강의를 하며 폭넓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바오바브상, 2006년 볼로냐 라가치 스페셜상 등 많은 상을 받았습니다. 기발한 상상력과 재치로 사랑받는 세계적인 작가로, 그의 책들은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소개된 그림책으로는 《나는 기다립니다》, 《피아노 치기는 지겨워》, 《완두》, 《내 안에 공룡이 있어요!》, 《행복을 파 는 상인》, 《아빠한테 물어보렴》, 《작가》, 《끝까지 제대로》 등이 있습니다.

그림 : 클로틸드 들라크루아

대학에서 시각 예술을 전공했으며, 프랑스 파리 인근에 살고 있습니다. 어린이들을 위한 글과 그림을 작업하고 있으며, 유머가 살아 있는 그림을 그립니다. 다양한 출판사와 함께 작업하고 있으며, 청소년 언론에도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역자 : 이세진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프랑스 문학을 공부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보부아르, 여성의 탄생』, 『티에르탕의 베케트』, 『음악의 기쁨』, 『살아 있는 정리』, 『역사를 만든 음악가들』, 『아직 오지 않은 날들을 위하여』 등 다수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서울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불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나와 다른 너에게》 《색깔을 찾는 중입니다》 《난 나의 춤을 춰》 《내가 여기에 있어》 《나, 꽃으로 태어났어》 《아직 오지 않은 날들을 위하여》 《내겐 너무 컸던 그녀》 《돌아온 꼬마 니콜라》 《설국열차》 《마리 퀴리》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나날》 등을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책소개

내가 보는 나 vs 남이 보는 나

내가 어떤 사람인지 설명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때로는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 나를 설명하는 근거가 되지요. 오데트는 좋아하는 것이 많은 아이입니다. 레오 다비드의 작품들을 좋아하고, 특히 ‘슈퍼 메뚜기’ 캐릭터를 좋아합니다. 오데트는 먹는 것도 좋아합니다. 사탕과 초콜릿, 바삭바삭한 과자, 크루아상, 마들렌, 까눌레를 좋아합니다. 무엇보다 치즈를 듬뿍 얹은 볼로네제 스파게티를 좋아합니다. 이런 음식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오데트의 심정을 특히 잘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오데트는 “날씬하지 않은 것”이 고민이거든요.
오데트의 부모님이 보기에 오데트는 삐쩍 마른 딸이지만, 친구들이 보기에 오데트는 뚱뚱한 아이입니다. 독자들이 보기에 오데트는 날씬한 아이들을 부러워하는 아이일 테지요. 이렇듯 오데트라는 아이는, 보기에 따라 다른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면면은 오데트의 일부이지만, 오데트 그 자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볼로냐 수상 작가 다비드 칼리는 『난 나의 춤을 춰』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속에서 스스로를 어떻게 긍정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유쾌하게 제시합니다. 그림작가 클로틸드 들라크루아는 제한된 선과 색으로 캐릭터의 상태와 감정 변화를 유려하게 표현했습니다.

어떤 어른이 되고 싶나요?

오데트는 좋아하는 음식이 엄청 많지만, 더 이상 먹지 않겠다고 결심합니다. 자신이 날씬해지면 다들 자신을 좋아해 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오데트 부모님의 생각은 다릅니다. 오데트 엄마는 장을 보러 가서 끊임없이 간식을 권하고, 오데트는 엄마의 ‘달콤한 꼬드김’에 넘어가고 말지요. 오데트의 부모님과 달리 현실에서는, 아이가 날씬한 몸을 가지길 바라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건강을 위한 제안일 때도 있지만 ‘남들이 보기에’ 좋은 모습이길 바라는 마음도 적지 않습니다. 반면 부모가 아무리 말려도 아이 스스로 과도한 다이어트를 감행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는 누구나 자신이 어떤 몸을 가질지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내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택인 만큼, 다양한 선택지 속에서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난 나의 춤을 춰』에서 오데트가 ‘자기만의 춤’을 추기 시작한 것은 “난 이렇게 살고 싶어!”라는 확신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어린이들에게 전형적인 틀에 갇힐 필요가 없음을 보여주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어른들이 더 많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프랑스 문화원 주최, 출판 번역 지원프로그램 선정작

주한 프랑스 문화원은 2010년부터 우수한 프랑스 작품들을 한국어로 번역, 출간하고자 하는 한국 출판사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난 나의 춤을 춰』는 PAP Sejong에 선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원제는 『odette fait des claquettes 오데트, 탭댄스를 추다』이지만 자기 존재를 긍정하는 의미를 부각하기 위해 한국어판 제목은 『난 나의 춤을 춰』로 정했습니다. 외모에 대해 고민하는 어린이들은 물론 어른들이 함께 보면 그림책입니다.

교과 연계

유치원 누리과정〉 Ⅲ 사회관계〉 나를 알고 존중하기 초등 2학년 1학기 통합(봄2) 〉 1. 알쏭달쏭 나

참고자료

자기 모습을 인정하는 이야기~
우리 아이들도 자신만의 춤을 추길~
북 트레일러

1. 주요 온라인 서점 판매 TOP 100
2. 주요 언론매체 추천 : 한겨레
3. 초등교과 연계 : 봄 2-1_1. 알쏭달쏭 나
4. 누리과정 연계 : 사회관계_나를 알고 존중하기
5. 프랑스 문화원 주최, 출판 번역 지원프로그램 선정작
6. 2021 올해의 청소년 교양도서 선정
7. 학교도서관사서 협의회 추천도서
8. 행복한 아침독서 추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