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에서 동래까지
윙크북스
한양에서 동래까지
30%12,0008,400원에 구매 가능
윙크북스 무료체험 신청하면 30% 할인

저자소개

글 : 조경숙

어렸을 때는 축구도 하고 야구도 하며 골목을 휘젓고 다녔다. ‘여자니까 이래야 한다.’ ‘여자라서 안 된다.’는 말을 참 싫어했다. 대학에서 국문학을 공부하고, 『돌이와 바다』로 월간 『샘터』의 엄마가 쓴 동화상, 『마음으로 듣는 소리』로 계몽아동문학상, 『그림 아이』로 방정환문학상을 받았다. 지금까지 쓴 작품으로 『나는야, 늙은 5학년』『만길이의 봄』『공을 차라 공찬희!』『천문대 골목의 비밀』『1764 비밀의 책』『조선 축구를 지켜라!』『비밀 지도』 들이 있다.

그림 : 한태희

미술을 공부하였어요. 40여 권에 이르는 그림책을 쓰고 그렸으며, 날마다 재미난 그림을 그리려고 해요. ‘동화 속으로의 여행’ 전시회를 가졌고, 『솔미의 밤하늘 여행』, 『구름놀이』, 『손바닥 공룡』, 『손바닥 상어>』 같은 작품이 있어요. 손바닥 그림을 그릴 때 유난히 즐겁고 행복해요.

기획 : 이지수

대학에서 역사를 공부하고, 어린이도서연구회,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어린이책 연구 모임 등에서 활동했어요. 어린이 역사책 기획자이자 작가로서 아이들에게 역사가 재미있고도 의미 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어요. 기획한 책으로 「역사 속 우리 이야기 달마루」 시리즈, 「푸른숲 역사 인물 이야기」 시리즈와 『다 말해! 다마레!』가 있고, 쓴 책으로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1』, 『수탉과 돼지』 이 있어요.

책소개

한양에서 동래까지 굽이굽이 이어진 옛길 따라

조선 시대 여행을 떠나자!

지난겨울, 동래부사로 부임해 간 아버지의 편지가 봄바람을 타고 도착했습니다. 아버지의 심부름을 하기 위해 한양에서 동래까지 먼 여행을 떠나게 된 기영이와 재영이의 우여곡절 여정을 따라가며, 옛 조상들은 여행을 떠날 때 무엇을 준비했는지, 어디에서 머물렀는지, 무엇을 타고 이동했는지 등 조선 시대의 여행에 대해 알아봅니다. 과연 기영이와 재영이는 무사히 동래에 계신 아버지를 만날 수 있을까요?

300여 년 전 옛길 따라 떠나는 조선 시대의 여행

기차도 비행기도 심지어 차도 없던 옛 조선 시대에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여행을 했을까요? 온라인으로 뚝딱 예약할 수 있는 호텔도 그 옛날에는 없었을 텐데 말이에요. 300여 년 전 조선 시대는 먹는 것, 입는 것 그리고 주거생활을 비롯하여 놀이 등의 일상이 지 금과 아주 많이 달랐어요. 게다가 꼬불꼬불한 길과 산새가 험한 고개를 넘어야 해서 여행을 하 기에는 많이 힘들었을 거예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조상들은 옛 서울인 한양에서 지금의 부산인 동래까지 아주 먼 거리도 거뜬히 여행을 했다고 해요. 『한양에서 동래까지』 그림책에 등장하는 주인공 기영이와 재영이는 동래부사로 부임해 간 아버 지의 심부름으로 한양에서 동래까지 먼 여행길에 올랐어요. 지금도 고속철도로 3시간 남짓 걸 리는 먼 거리를 두 친구는 어떻게 여행할지 옛 조선 시대 속으로 들어가 보세요! 굽이굽이 옛 이야기를 가득 품은 옛길에 대해 알아보고, 옛 지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알찬 정보와 조선 시대 양반들의 생활사를 엿볼 수 있을 거예요.

한양에서 동래까지 여정을 통해 보는 조선 시대 생활사

기영이와 재영이 두 도련님을 모시고 가는 긴 여행길에는 많은 것들이 필요했지요. 하인들은 빠짐없이 여행길에 필요한 것들을 챙기느라 분주했어요. 아버지가 부탁한 물건부터 옷가지, 버선, 자리, 갈모, 수건, 대야, 거울, 빗, 벼루와 붓 등 기영이와 재영이가 입고, 쓰고 할 물건들, 밤새 머무를 곳을 구하지 못했을 때 야영을 대비한 돗자리와 모기장, 세면도구, 조리 도구와 먹을거리, 상비약 그리고 봇짐과 지게 등의 운반 도구까지. 부피도 컸지만 무게도 엄청났어요. 이렇게 조선 시대의 양반들은 여행을 떠날 때 엄청난 부피와 무게의 짐들을 가져갔어요. 그래서 조선 시대 양반의 여행길에는 '육족'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어요. 말의 발 네 개와 종의 발 두 개가 필요하다는 뜻이지요. 양반이 아닌 평민들은 아무리 먼 길이라도 걸어서 가야 했지요. 마치 이사를 가는 듯한 채비가 끝나면 양반들은 신분이나 성별에 따라 남여, 사인교, 연, 명차, 덩 등의 가마를 타고 긴 여행길에 올랐어요. 20여 일이나 걸리는 기영이와 재영이의 긴 여정 속에 녹아 있는 재미난 이야기에는 여행을 할 때 필요한 물건들을 비롯해, 탈것, 숙박 시설, 날씨를 예측하는 법, 옛 장터의 모습 등 조선 시대의 생활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어요. 지금의 여행 모습과 비교하면 번거롭고 느리고 불편할 것 같지만,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옛날에도 나름 조상들의 지혜와 재치로 먼 길을 여행하곤 했답니다.

잊혀 가는 옛길의 지명과 유래를 알아보아요

『한양에서 동래까지』 책 속에는 말죽거리, 달이내고개, 토끼비리 길 등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는 옛 지명이 등장해요. 기영이와 재영이가 동래까지 가는 여정에 속해 있는 곳이지요. 옛길의 지명은 이름만큼이나 재미있는 유래를 담고 있어요. 기영이와 재영이의 여정 중 가장 험한 길이었던 토끼비리 길은 고려 태조 왕건이 견훤과 전투를 벌이기 위해 남쪽으로 내려왔다가 길이 막혀 곤란하던 때, 토끼 한 마리가 벼랑을 따라 달아나는 것을 보고 벼랑을 잘라 길을 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해요. 이처럼 우리나라 곳곳에는 아직 옛 이름 그대로 불리는 옛길도 있지만, 서서히 잊혀 가는 옛길이 더 많아요. 『한양에서 동래까지』 그림책이 우리가 사는 곳 주변에 남아 있는 옛 역사의 흔적을 찾아 보는 계기가 되어 줄 거예요.

섬세하고 정성스럽게 그려낸 조선 시대의 여행길

『한양에서 동래까지』 책에는 기영이와 재영이의 여행 이야기도 담겨 있지만, 아기자기하고 섬세하게 그려낸 그림 속에는 더 많은 조선 시대의 이야기를 담고 있어요. 한양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전경부터 도감을 떠올리게 하는 여행 준비물과 탈것들, 한강나루터, 옛 안성 시장, 일행이 만난 상여와 향교, 길가에 핀 봄꽃들, 경상감사 행렬, 영남루에서 내려다본 밀양강, 험한 산새를 연상케 하는 고개들 그리고 동래읍성까지. 한양에서 동래까지 여정 속 곳곳의 풍경을 색연필 선으로 섬세하고 정성스럽게, 다채롭고 실감 나게 표현했습니다. 책 마지막 페이지에 구성한 숨은그림찾기 활동을활용해 책 속에서 놓치기 쉬운 구석구석의 장면들을 찾아보면 한층 더 책읽기에 재미를 느낄 수 있어요

참고자료

조선시대의 생활상까지 엿볼 수 있는 재미난 책
300여 년 전 조선 시대의 여행길
주인공의 발자취 따라 그려보기

1. 교과서 연계 : 3-2_사회 2. 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2. 어린이 도서연구회 추천도서
3. 행복한 아침독서 추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