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예술 아카데미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을 공부했습니다. <사탕>은 오스카와 요리스의 눈을 통해 ‘죽음 이후의 세계’라는 무거운 주제를 가볍고 은은하게 다룬 점을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이 외에 <나는 사실 너에게 조금 미친것 같아>, <스쿠터를 타고가는 양>, <마음에 담아두기, 그리고 또 다른 현대의 불편함들>, <우리가 이끌어낸 성공적인 삶> 등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일상과 일상에서 느껴지는 삶에 대한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해 내고 있습니다.
제품디자인 회사와 스타트업 회사를 거치며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만드는 일을 해왔습니다. 그러다 마음을 다독여주는 그림과 이야기에 매료되어 국내외 작가들과 함께 그림책을 만들며 더 가치 있는 일들로 시간을 채우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코끼리가 수놓은 아름다운 한글』, 『아기 도깨비 쿠오』, 『수탉은 왜 잠을 자지 않을까?』 등을 쓰고 『나의 호랑이』, 『소년과 고래』, 『우리가 손잡으면』, 『코끼리 아저씨의 신기한 기억법』, 『사탕』, 『코끼리 동산』, 『내공은 어디에?』, 『집을 지어요』 등을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사탕은 자칫 무거워 질 수 있는 삶과 인연, 그리고 그 마지막 모습일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오스카와 요리스라는 두 친구의 대화를 통해 꺼내 놓습니다. 마치 다음 소풍 약속을 하듯 죽음 이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두 친구의 모습은 독자에게도 가슴 한 켠에 자리잡고 있는 옛 친구를 떠오르게 합니다. ‘하늘 나라가 정말 있을까?’라는 단순한 질문은 생각의 깊이를 더하고 철학적 사유로 이어집니다. 까만 선으로 그려진 간결한 그림은 두 친구 이야기 속의 온기를 더 따뜻하게 전해 줍니다. 죽음 이후의 이야기라고 심각해지지 않습니다. 소풍가는 이야기 처럼, 일상의 이야기 처럼 두 친구는 아주 담담히, 하지만 아주 솔직히 풀어내고 있습니다.
모든 것에는 시작이 있고 또 끝이 있습니다. 우리의 삶도, 살면서 우리가 맺는 인연도 그렇겠지요. 그런데, 그 끝은 과연 어떤 모습 일까요? 죽음은 모든 것의 끝이지만, 모든 것이 끝나고 아무 것도 없어진 것이 아닙니다. 끝은 다시 무언가의 시작이기 때문입니다.
사탕은 자칫 무거워 질 수 있는 삶과 인연, 그리고 그 마지막 모습일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오스카와 요리스라는 두 친구의 대화를 통해 꺼내 놓습니다. 마치 다음 소풍 약속을 하듯 죽음 이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두 친구의 모습은 독자에게도 가슴 한 켠에 자리잡고 있는 옛 친구를 떠오르게 합니다. ‘하늘 나라가 정말 있을까?’라는 단순한 질문은 생각의 깊이를 더하고 철학적 사유로 이어집니다. 까만 선으로 그려진 간결한 그림은 두 친구 이야기 속의 온기를 더 따뜻하게 전해 줍니다. 죽음 이후의 이야기라고 심각해지지 않습니다. 소풍가는 이야기 처럼, 일상의 이야기 처럼 두 친구는 아주 담담히, 하지만 아주 솔직히 풀어내고 있습니다.
햇살이 따뜻한 어느 오후, 단짝 친구인 오스카와 요리스는 함께 공원에 소풍을 가기로 합니다. 오스카와 요리스는 좋아하는 사탕을 나누어 먹으며 따뜻한 오후를 즐기기로 하지요. 햇살이 내리쬐는 따뜻한 오후는 밤과 낮의 리듬에 이끌려 우리가 숨쉬고 살아있는 날을 의미합니다. 그런 오후의 소풍에 하늘 빛처럼 파란 사탕을 보고는 문득 ‘하늘 나라’가 궁금해 집니다. “저 하늘 위에는 정말 ‘하늘 나라’가 있을까?” “모두들 죽으면 ‘하늘 나라’로 간다고 하는데, 정말 그런 곳이 있을까?” 대화는 엉뚱하게도 죽음에 대한 이야기로 흘러가지만, 두 친구는 진지하게 이야기를 이어 갑니다. 두 친구가 생각하는 삶의 마지막, 인연의 끝은 과연 어떤 모습 일까요? 사탕으로 시작된 이야기의 끝에 두 친구는 과연 어떤 결론을 마주할까요? 오스카와 요리스는 네덜란드의 작가 실비아 반 오먼에 의해 태어난 귀엽고 친근한 캐릭터입니다. 두 친구가 나누는 엉뚱하지만 아주 진지한 이야기는 우리의 가슴을 조용히 울려줍니다. 그리고 곱씹어 생각할 거리를 안겨 줍니다.
'나에게도 이런 친구가 있었지..’ 이 책을 만나고 처음 들었던 생각입니다. 오스카와 요리스는 ‘스스로가 바보같이 느껴질 만큼 우울한 날’ 친구를 찾아 힘든 속내를 털어놓던 나의 모습과 닮아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나를 한결같은 모습으로 맞아주던 친구가 보고 싶어졌습니다. 친구와의 인연이 새삼 소중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 이 ‘소중한 인연'이 과연 어떤 모습으로 남게 될지 궁금해졌습니다.
오스카와 요리스는 이야기합니다. “만약, 네가 간다면.. 나도 따라 갈거야. 그러면 우리 다시 만날 수 있겠지” “그럴 수 있으면 좋겠다.”
두 친구에게 마지막은 헤어짐을 받아들여야할 체념의 순간이 아니었습니다. 마지막에 다다르더라도, 일상에서 그랬던 것 처럼, 다시 만나 함께 소풍 갈 것을 약속합니다. 그렇게 둘이 함께 하는 새로운 시작을 약속합니다. 우리 모두에게도, 마지막은 모든 것의 끝이 아닐 것입니다. 새로운 시작일 것입니다.
오스카와 요리스. 여러분도 이 두 귀여운 철학자 친구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세요.
1. 누리과정 연계 : 의사소통_책과 이야기 즐기기
2. 누리과정 연계 : 사회관계_나를 알고 존중하기
3. 교과서 연계 : 2-1 국어_11. 상상의 날개를 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