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이탈리아 볼로냐 국제 어린이 북 페어전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로 선정되었습니다. 주요 전시로는 2009~2010 이탈리아 파두바시 콜로리 델 사크로 전시와, 2020년 상하이 국제 어린이 북 페어전 킬러 콘텐츠에 선정되어 한국관에서 전시되었습니다. 대표 책으로는 『책이 꼼지락꼼지락』, 쓰고 그린 책은 『멸치 참피언』, 「플레이송스 사운드북」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그밖에 활동으로는 네이버 그라폴리오와 서울와우북페스티벌과 함께 하는 상상만발책그림전을 통해 신인작가 선정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한겨레그림책아카데미에서 그림책 강의를 하며, 시작선에 서있는 작가 지망생들의 책을 만드는 일을 함께하고 있고, 이 수업을 통해 현재 수많은 그림책과 작가들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교육에 몸담고 다양한 종류의 책 작업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창작자로써 아쉬움과 목마름에 이젠 온전하고 재미있는 그림책을 만들고 싶은 바램으로 ‘페이퍼독’ 출판사 운영하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 선생님으로부터 ‘참! 잘했어요’ 도장을 받고 기뻐하지 않았던 사람은 없었을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이 도장은 선생님의 사랑과 관심, 칭찬의 또다른 이름이지요. 이 그림책은 참이가 시험 문제를 풀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참이의 참모습을 보여줍니다. 옆집 아주머니의 음식 솜씨에 감동하고, 배가 아픈데도 선생님께 말 못하고 끙끙 앓기도 하지요. 엄마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기억하고, 아빠의 건강을 걱정하며, 싸우는 친구들을 화해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렇습니다. 참이는 마음이 따뜻한 아이였습니다!
선생님은 참이의 시험지에 빨간 색연필로 빗금을 치다 말고, 파란 색연필로 그 위에 다시 동그라미를 쳤습니다. 그러고는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특별한 ‘참! 잘했어요’ 표시를 해 주었답니다. 참이에 대해 좀더 잘 알게 된 선생님의 마음을 듬뿍 담아서요. 아이들은 저마다 다른 씨앗입니다. 어른들이 할 일은 각자의 개성과 장점을 칭찬해 주는 일일 것입니다. 그러면 아이들이 제각기 다른 꽃을 피우지 않을까요?
그림책의 첫 장면은 엄마의 잔소리로 시작합니다. “문제를 제대로 읽어야지. 대충 읽고 대충 쓰니 아는 문제도 틀리잖아. 오늘은 침착하게 문제 잘 읽고 충분히 생각하고 답을 써!” 아침부터 잔소리를 들어서 그런지, 아침밥을 허둥지둥 먹어서 그런지 주인공 참이는 배가 살살 아픕니다. 하지만 곧이어 ‘오늘은 시험 꼭 잘 볼 거야!’라고 결심하며 운동화 끈을 당겨 매지요. 과연 오늘 참이는 다짐한 것처럼 시험을 잘 볼 수 있을까요?
참이는 침착하게 문제 잘 읽고 충분히 생각하고 답을 쓰라는 엄마의 말을 기억하며 한 문제씩 진지하게 풀어 갑니다. 그런데 어쩐지 답이 좀 이상합니다. 선생님이 생각한 답과는 다른 것 같아요! 우리는 종종 아이들의 엉뚱한 대답에 배꼽을 쥐고 웃을 때가 있습니다. 때론 기발한 아이디어에 감탄하기도 하고요. 이 책을 쓰고 그린 이경국 작가도 초등학생 큰딸의 엉뚱한 시험 답안을 보고 너무 재미있어서 이 이야기를 떠올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림책을 만들기 위해 다른 사례를 찾아보니, 아이들의 답안이 생각보다 놀라웠다고 합니다. 선생님의 동그라미용 ‘정답’은 아니었지만 생각하기에 따라 아이의 답도 분명 맞는 답이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사회는 아이들에게 한 가지 정답만을 지나치게 강조합니다. 그 결과 정답을 찾은 다음에는 그것에 대해 아무런 의문도 갖지 않지요. 창의력이 넘치는 아이로 자라기 바란다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건물의 출입문이 여러 개일 때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드나들 수 있듯이, 생각의 출입문도 여러 개일 때 창의적인 생각이 샘솟을 수 있는 것이니까요.
-에밀 샤르티에(프랑스 철학자)
어린 시절, 선생님으로부터 ‘참! 잘했어요’ 도장을 받고 기뻐하지 않았던 사람은 없었을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이 도장은 선생님의 사랑과 관심, 칭찬의 또다른 이름이지요. 이 그림책은 참이가 시험 문제를 풀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참이의 참모습을 보여줍니다. 옆집 아주머니의 음식 솜씨에 감동하고, 배가 아픈데도 선생님께 말 못하고 끙끙 앓기도 하지요. 엄마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기억하고, 아빠의 건강을 걱정하며, 싸우는 친구들을 화해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렇습니다. 참이는 마음이 따뜻한 아이였습니다! 선생님은 참이의 시험지에 빨간 색연필로 빗금을 치다 말고, 파란 색연필로 그 위에 다시 동그라미를 쳤습니다. 그러고는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특별한 ‘참! 잘했어요’ 표시를 해 주었답니다. 참이에 대해 좀더 잘 알게 된 선생님의 마음을 듬뿍 담아서요. 아이들은 저마다 다른 씨앗입니다. 어른들이 할 일은 각자의 개성과 장점을 칭찬해 주는 일일 것입니다. 그러면 아이들이 제각기 다른 꽃을 피우지 않을까요?
이경국 작가는 참이의 하루를 따라가며 감정의 변화를 생생하게 그려 냈습니다. ‘오늘은 시험 꼭 잘 볼 거야!’라고 다짐하는 참이의 표정은 결의에 차 있습니다. 쉬운 문제가 나왔을 때에는 한껏 자신감이 느껴지고, 엄마가 시험지를 확인하는 장면에서는 불안감과 긴장감이 전달됩니다. 처음과 마지막 장면을 제외하고는 참이가 시험 문제를 푸는 장면과 답을 떠올리는 장면이 번갈아 나오는데, 시험 문제를 푸는 장면은 배경을 생략하고 참이의 표정과 동작을 꼼꼼히 묘사한 반면, 답을 떠올리는 장면은 매직으로 쓱쓱 그린 듯한 자유로운 선과 감각적인 색채로 참이의 평소 모습을 엿보고 참이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렸습니다. 작가는 참이가 갑자기 배가 아픈 장면에 특히 공을 들였습니다. 짙게 드리운 그림자와 빠르고 어지러운 선들로 참이의 불안감과 당혹감을 잘 드러냈지요. 마치 금방이라도 큰일이 벌어질 것만 같아 독자도 덩달아 긴장이 됩니다. 참이의 걱정과는 달리 엄마 아빠가 시험지를 보고 웃는 마지막 장면에서는 그간의 긴장이 해소되며 얼굴 가득 미소를 짓게 되지요. 머리를 긁적이며 멋쩍게 웃는 참이의 표정에서 슬며시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집니다.
1. 누리과정 연계 : 의사소통_책과 이야기 즐기기
2. 초등교과 연계 : 국어 2-1_11. 상상의 날개를 펴요
3. 행복한 아침독서 추천도서